IoT 시대, 네트워크기기 대기전력 기준 만든다

이르면 올해 안에 셋톱박스, 통신, 생활가전 등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대기전력 기준이 만들어진다. 사물인터넷(IoT) 시대 도래와 함께 빠르게 늘어나는 네트워크 기기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네트워크 기기 대기전력 기준 마련을 위해 국제 연구에도 참여한다.

한국에너지공단은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제품에 대한 네트워크 대기전력 기준을 연내 고시에 반영하고 단계별로 네트워크 대기전력 수요 관리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네트워크 기기 대기전력 기준 마련은 기존 통신기기 외 생활가전, 조명, 보안시스템 등에까지 네트워크 기능이 확대되면서 전력소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기기가 대기전력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을 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IoT 시대, 네트워크기기 대기전력 기준 만든다

네트워크 대기전력은 제품이 주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도 네트워크에 연결돼 소비되는 전력이다. 기존에 제품이 꺼진 상태로 플러그만 연결돼 소비되는 대기전력보다 최대 10배 이상 전력을 소모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5년까지 네트워크 기기 에너지 소비량이 세계적으로 연간 1140TWh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현재 세계 전기소비량 6% 수준으로 캐나다와 독일 연간 전력 소비량을 합친 것보다 많다.

에너지공단은 기존 오프모드에 초점을 맞췄던 대기전력 관리에서 벗어나 네트워크 대기전력 관리로 정책 방향을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위에 10개국 정부가 참여하는 IEA-4E의 네트워크 기기 분과(EDNA) 등 다양한 국제적 협력활동에 동참해 정책 수립과 관련 기술 개발을 논의하고 있다. 또 유럽 등 선진 사례를 분석해 한국에 맞는 대기전력 정책과 시험방법을 수립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에너지공단 관계자는 “IoT 시대 도래로 세계가 함께 네트워크 대기전력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시점”이라며 “정부 정책뿐 아니라 기술 개발자, 산업계가 함께 고민하고 동참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