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이치오토모빌그룹의 자회사 ‘DT 네트웍스’가 오는 17일 BYD 승용차 분당 전시장 오픈을 앞두고 판교 파미어스몰에서 팝업스토어 행사를 열었다. 도이치오토모빌 제공
BYD(비야디)를 필두로 중국 자동차의 한국 진출이 본격화하면서 중국산 커넥티드카가 개인정보 유출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해외 커넥티드카 기술·부품이 국내에서 얼마나 쓰이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등 보안 문제를 전반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커넥티드카는 자동차 내외부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차량을 일컫는다.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를 차량 관제용 사물인터넷(IoT)으로 한정하면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에는 총 946만7474대가 있다. 국내 등록 차량(2627만3606대)의 36.04% 수준이다.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NFC), 초광대역 무선(UWB) 등 양방향 무선통신을 폭넓게 포함하면 글로벌 신차의 90%가량이 커넥티드카라는 분석도 있다.
문제는 무선 네트워크와 밀접하게 연결될수록 개인정보가 자동차 업체로 흘러들어갈 개연성이 커진다는 점이다. BYD코리아는 “개인정보보호법을 엄격히 준수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수집된 개인정보는 중국 본사에 공유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중국산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를 활용할 계획도 현재로선 없다고 했다.
다만 BYD코리아는 수집한 정보를 국내에 있는 중국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 클라우드 서버에 보관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국내 정보를 중국 기업 서버에 보관 중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소비자들은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중국 브랜드 자동차뿐만 아니라 중국산 커넥티드카 기술이 적용된 차량에 대해서도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짚어봐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지난달 미국 상무부가 자율주행이나 통신 기능에 중국·러시아산 소프트웨어·부품을 사용하는 자동차 판매를 금지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하지만 국내 자동차 업계는 중국을 비롯한 해외 커넥티드카 기술과 부품이 얼마나 쓰이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소프트웨어의 경우 현대차그룹을 필두로 자체 소프트웨어를 개발했기 때문에 중국산의 개입 여지가 적지만, 여러 부품이 모이는 하드웨어의 경우 일일이 원산지를 확인하기 어렵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에 미국에서 커넥티드카 규제를 도입한다고 해서 국내에서는 중국·러시아산이 얼마나 쓰이는지 파악해보려 했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커넥티드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만큼 선제적인 법·제도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자동차 제작사의 소프트웨어 보안 관리 의무를 강화한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은 지난해 1월 국회를 통과해 올해 8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